오늘은 시 한 편
...말고 에세이 한 구절 읽고 가셔용
듣는 것에 인색한 사회다. 어쩌면 그런 시대인지도 모르겠다. 듣기보단 말하는 것에 익숙한 시대. 들리는 것을 듣는 것조차 원하지 않는 이곳에서 듣고 싶어 듣는 행위는 사치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나 죽고 싶어"
"지랄하지 말고 술이나 먹자."
이런 식이다.
내가 왜 죽고 싶은지 묻지 않는다. 다섯 글자로 말하니 열한 글자로 답한다. 그리고 딴에 여자랑 헤어져서 죽고 싶은 것이겠거나 한다. 여자랑 헤어졌으니 술이나 진탕 마시면 죽고 싶지 않겠거니 한다. 만약 그렇다고 해도 왜 헤어졌는지,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헤어졌는지, 헤어지고 뭘 했는지, 내가 지금 집인지 공원인지 한강 다리 위인지 듣지 않고 술을 먹자고 한다. 술을 마시면 된다고 열한 글자로 답한다. 살고 싶다고 했으면 조금 더 애처롭게 들어주었으려나 하는 찰나의 고민도 어차피 소모라고 판단하고 항상 그렇게 마음을 접는다.
- 박정민, <쓸 만한 인간> 中
0 XDK (+1,000)
-
1,000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화잘주스 김준 3
화1 김준 강의듣고 강준호T 수업안듣는데 화잘주스 사서 푸는거 어떻게 생각함? 굳이인가
-
인강 혼자 절대 안볼 것 같아서 시대인재에서 강준호현강 다니다가 하반기에 김준으로...
-
엄청 어려운건 아는데 ㄱㅊ나요....? +)혹시 전 수업 영상 구매 가능한가요?
-
양적관계 문제에서 1/1, 3/3 이렇게 써잇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
님들 휴강 끝나고 강준호 가는데 리바 7(1권) 이건 뭐임? 2
저 아래쪽에 있는 리바 7(1권) 이건 뭐임? 일반 리바랑 다른 거임?
-
김상훈 뛰고 점심 먹고 강준호 가는데 김상훈은 태성빌딩이던데 강준호는 어느 건물에서 해요?
-
파이널때 서바랑 서바a 다 주나요? 친구 말 들어보니까 작년에 엄 다녔을 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