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비문학 : 얼마나 잘 이해해야하지?
자유무역협정과 원산지규정.pdf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하고 있고 아마도 대학원에서 더 공부 예정인 퍼런입니다.
학습 관련된 이야기를 할 때 점수를 인증하고 쓰는 것이 신뢰도를 높이는 것 같아서 아래와 같이 간략히 첨부합니다.
문장의 단어 단위에서부터 어떻게 힘주어 올라가 문장의 의미를 구성하는지, 내지는 글의 소재나 중심 흐름에 의거해 어떻게 구조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좋은 자료들이 있는 것 같아서 제가 오르비에 적는 첫 글이기도 하니
그냥 올해에 지도했던 학생들 중 한명에게서 질문 받았던 지문 일부 발췌하여 짤막하게 소개하고 관련해서 어떻게 글을 이해하면 좋을지 적어드리려고요. 읽으셨다는 전제 하에 일부 내용 발췌하는 식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아 적다보니 길어졌습니다 ㅠ
아래 내용 읽기 전에 첨부된 지문 및 문제 읽어보시고 간단히 짚어보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해설 읽고 나서 지문 보면 확증 편향만 하게 되니깐요.
[지문] : 2024 고3 5월 모의고사_원산지 규정과 자유무역 협정
(1) 지문 시작해보기 : 자유 무역 협정
(2) 독해 전략 : 공간 정보에 집중해 구체적인 표상
근본적인 독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위 내용을 읽을 때 '역내국'이라는 내용을 보고 '역외국'이라는 단어가 나오기 전에 역외국을 염두에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국가들의 집합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머릿속에 표상하는 게 필요한데요. 벤다이어그램 안은 역내국, 밖은 역외국 이런 식으로요.
안과 밖이라는 말을 살려서 읽고 좀 더 구체적으로 떠올릴 필요가 있다는 말인데요. 그러면 벤다이어그램 안쪽에는 A, 벤다이어그램 바깥 쪽에는 B가 있는 식으로 구체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와 같이 공간적으로 표상해서 영역을 벤다이어그램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게 왜 필요하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애초에 '내' / '외' 가 구분된 초기 상황에서 "무역 구조가 변화하면서" 무역 창출 효과, 무역 전환 효과, 무역 굴절 효과 등이 나타난다고 글이 전개되고 있기에 간단하게라도 최대한 떠올릴 수 있는 만큼 떠올려 보는 게 필요합니다.
마지막 문장을 보시면 역외국이 역내국(A)에 바로 수출하는 게 아니라 본인 입장에서 다른 역내국(C)를 거쳐 역내국(A)에게 수출하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 문장을 공간적으로 떠올리지 않고도 접근할 수도 있긴 하겠지만, 위에서처럼 내 / 외에 주목해서 그림을 그렸다면 B 입장에서 벤다이어그램을 한번 더 그릴 수 있겠죠. 좀 더 선명하게 그려지지 않나요? 아래 벤다이어그램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결과적으로 B는 C(B의 역내국)를 거쳐서 A(C의 역내국)에게 가니까 무역 장벽(원래 A의 벤다이어그램 바깥)의 효과가 반감되는 결과가 나타나겠죠? 그러면 애초에 원외국과 원내국으로 나누는 무역 협정의 취지가 이상해지는 듯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까요? 사실 여기까지 읽으면서 모두 캐치하기는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만 여기에서 캐치하지 못했더라도 어느 정도 머릿속에서 그려냈다면 문제에서 관련 내용을 물어볼 때 빠르게 핵심을 짚을 수 있습니다.
이 지문은 (가), (나) 형태의 복합형 지문인데요.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은 (가)에 대한 내용이었지만 뒷부분, 즉 (나) : 원산지에 대한 별도의 내용에서 이와 같은 중심원리가 아래 (ㄱ)처럼 다시 등장하게 됩니다.
선지에서 ㄱ의 이유를 추론하라는 문제가 나오게 되는데요. 사실 이 이유는 지문의 (나)에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의 내용과 연결짓는게 필요합니다.
(3) 굳이 이렇게 해야하나요? : 그렇게 안하겠다면요?
이러한 상황에서 보통 발췌독 위주로 독해 및 문제풀이를 진행한 학생들은 지문 소재 및 논리 구성에 따라 제시되는 정보들을 읽을 때 머릿속으로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모릅니다. 역내국, 역외국이 머릿속에 한번에 그려지는게 아니라 선지에서 역내국을 보면 역내국 내용을 지문 내용에서 다시 일일이 찾는 식으로 일치/불일치로 모든 문제를 푸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유무역협정의 부정적 효과에 대응되는 내용을 찾으러 다시 (가)로 떠나게 되는거죠. 물론 그렇게도 문제를 풀 수도 있지만 아쉬운 점은 중심 원리에 대해 머릿속에 내용을 그리지 않고 읽어나갔을 때, 뒷부분에 가서 관련된 원리가 다시 등장하면 이 내용들을 처음부터 다시 연결하고 그려내는데 시간이 상당히 소모된다는 점입니다.
이보다는 개인적으로는 글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이해 방식을 어느 정도 잡아가면서 지문을 이해하고 문제를 푸는 게 핵심적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실제로 출제하는 입장에서도 이러한 핵심 원리를 문제에 반영할 수밖에 없기도 하고요.
저는 독해력 차이가 이러한 이해 방식을 적용하는지 등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해서, 저는 글을 어떻게 읽었는지 학생한테 질문하고 생각없이 문자정보로만 처리하게 되는 부분들을 짚은 다음에 관련 자료를 제공해주는 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편입니다.
적다보니 길어졌네요. 작성 포맷에 더 익숙해져야겠어요.
두서없이 적은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통해서 질문 남겨주셔도 좋습니다. 학생들 뿐만 아니라 여러 선생님들이랑도 교류하고 싶네요.
반갑습니당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대경영 컷 2
중대 경영 컷 진학사에서 얼마로 잡았는지 아시는분 있으신가요ㅜㅜㅜ
-
진짜 잘 낸 수학 문제 20
교사경까지 통틀어서 난이도랑 관계없이 이 문제는 진짜 잘 냈다 하는 수학 문제 있나요?
-
22 33354 23 군대 24 55365 / 군수 25 13322 / 12학점...
-
정말 좀 친다 하는 문과생들 cpa 준비 많이 해서 회계사가 그렇게 잘버나 싶네요
-
벌써 몇번째인지 모르겠노 접을때가 됐나
-
새터 날짜 2
새터 보통 날짜가 어떻게 되나요? 오티도 알려주세요!
-
눈 침침하고 물 많이마시고 발 저리고 밥 많이먹는데 혈당치는 찌를때마다 지극히...
-
口是禍之門 (구시화지문) 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고 舌是斬身刀 (설시참신도) 혀는...
-
전자후자 뭐가더좋음?
-
궁금함
-
Was turn?
-
몽글몽글
-
ㄹㅇ 궁금한디 썰좀 풀어주세요
-
확통런 3
안녕하세요 올해 재수를 하는데 선택과목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2025학년도 수능...
-
차기 갤주 등장 2
대 요 요
-
자가진료는 좀 필요해보이긴 함
-
현역이 실모 시즌에만 바짝 해도 백분위 99가 나옴
-
이게 건축공학처럼 보여? 빼박 건축학과 아니야??? 자전 전공소개에 이렇게 돼있으면...
-
차단 꾸욱 9
-
근데 정신건강을 좀 챙겨야거같아요 선생님 의사샘이신거같은데 환자보기보다도 자신을 좀...
-
너무 즐거워서....다들 투투 해야겠지? (제발 해주세요)
-
작수 높4등급 나왔는데 문학은 3개 틀리고 비문학은 6개 정도 틀렸어용 나머진...
-
오스 보드따고 로컬 나간다 해서 오쓰 그 자체가 자기 전문이 되는게 아님 환자를...
-
홍대 기계 점공 7
붙을 수 있을 까요??
-
개정 많이 됬나요???
-
좋은걸까요 안좋은걸까요
-
아수라에서 올해 수능 이럴'수도' 있어 라고 한것중에 진짜 그렇게 된게 많긴한듯...
-
지금 수업구성이 어떻게 되나요?? 뭐하는지 알려주세요..
-
빵이었으면.. 고대 저처럼 점공률 40퍼 밑인분들 있을까요?
-
젊은 성인 2형 당뇨 증가세...고칼로리 식습관에 의한 비만 인구 증가가 원인 4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식습관, 생활습관 등의 변화로 만성질환이라 불리는...
-
재밋음
-
별 감정 안 생길 줄 알았는데 슬프네 내가 굉장히 많이 미워핬던 사람인데도
-
아가 기상 8
모두 안녕
-
물1 4만 5천명 화1 2만 5천명 생1 8만명 지1 12만명 물2 1만명 화2...
-
정수 범위 내에서 한정짓나요? 분수까지 따지면 모든 수의 약수 배수는 모든 수가...
-
뭔가 아 됐다 싶은 강의는 나름 풀이 체제가 잡히는 느낌인데 아닌 거는 진짜...
-
진로 원서 취업 학교생활등 다 괜찮습니당
-
이게 보통인거같기도.. 학과랑 완전히 같은분야도아니고 보통 대학가서 찾나 적성은
-
재수생이고 현역때 생1 지1 수능 개말아먹고 투사탐(사문 세지) 하려고 하는데 둘...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고려대경영 고려대식품공 어디가나음
-
신기하군뇨
-
정을선전에서 개털리고 갑민가 어버버했는데 원본 읽고 풀기만해서는 나는 개털린다는거 깨달았네요 ㅅㅃ
-
앞으로 이런 문법적인 부분을 ‘시경외‘하지 말도록 합시다
-
공스타 시작.. 2
사수까지 하다보니…뭔가 새로운 즐거움을 찾고 싶어 공스타 개설 했다는.. 사수해서...
-
대부분 저거보다 많이 썼을건데 대충 1년에 천만원 잡아도 초중고 12년동안 니들한테...
-
https://youtu.be/2b1IexhKPz4?feature=shared...
-
전적대는 건대임
-
늦버기 3
잘잤다
안녕하세요! 작성하신 글 읽어본 기억이 나요. 적완님이 읽으시기에 이해에 좀 더 집중하는 글일 수도 있으려나요? 수업하는 거랑 글로 오르비에 전달하는 게 차이가 있긴 하네요

결국 핵심은 '특정 조건 A가 있을 때, A가 아닌 상황 ~A를 생각하고 이를 뒷부분 예측에 활용하라'네요. 근데 이제 배경지식에 따라서 표현법만 조금씩 달라지는 것뿐.. 국어 강의에서 체화했다고 착각한 피상적인 지식들이 이제야 맞아들어가는 느낌입니다. 좋은 깨달음 감사합니다논리도식화를 잘하시네요. 넓게 보면 주어진 조건 상황에서 가능한 상황들을 생각해보는 게 맞습니다.
역외국인 초기 조건(A)이 있을 때, 그에 반해 역외국이 아닌 또는 그 경계가 애매해지는 조건(~A)을 지문에서 제시해주고 있죠.
근데 처음부터 A와 ~A를 문제에서 낼거라고 생각하고 들어가면(지문이 그렇게 대립 형태로 기술이 안되는 경우도 더 많고) 좀 더 다른 내용들을 안읽고 날리는 경우가 흔해서 저도 적어도 국어에서는 처음부터 흔히 말하는 구조적 독해는 경계하는 편이긴 해요.
좋은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당
A와 ~A 하나 잡았다고 글 다 끝난 줄 아는 거 << 확실히 영어에서나 통하는 위험한 생각이죠. 고3 때 저도 그렇고 강사 1명만 들은 무식한 사람이 가지는 제일 무서운 신념인데, 이걸 고치려면 국어 강의를 매우매우 비판적으로 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결국 어떤 강의든 사람 특성에 따라 한쪽으로 치우치기 마련이니.. 저도 님 글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 더 이해가 깊어졌고요.
쪽지로 질문들 받고 댓글 간만에 다시 읽었는데 생각해보면 저는 현역 때 국어 인강이나 학원 따로 안들었어요. 오르비는 보통 공부 시작 전에 다들 인강을 장착하고 가는 것 같기도 하고.. A와 ~A 구조를 수업을 통해 배우고 글을 읽은 게 아니라고 해야할까요? 어떤 통용되는 만능키가 있다는 전제가 제 머릿속에 애초부터 없어서 접근의 출발점이 다른 것 같긴 하네요. 비단 입시교육을 넘어서 이후에 더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은 것도 그렇고요.
새삼 최근 학생들을 이해하게 해주는 댓글이군요. 감사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