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명절은 잘 보내셨는지요. 하하..
오늘 다룰 주제는 상하관계와 부분관계입니다.
많은 정보들이 산재할 때 이들 간의 관계를 정리할 줄 알아야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대지 않을 수 있는데요.
바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
이전 칼럼 링크 첨부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칼럼 1 - 도약 독해] https://orbi.kr/00071108479
[칼럼 2 - 물음표 띄우기] https://orbi.kr/00071274966
[칼럼 3 - 텍스트 암기 시도하기] https://orbi.kr/00071425475
/
[상하관계]
상하관계는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간의 관계를 말합니다. 상위개념이 하위개념을 개념적으로 포함하죠. 동물과 사람을 예시로 들면 동물이 상위개념이고 사람이 하위개념입니다. 또 다른 예시로 악기와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가 있습니다. 악기가 상위개념이고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가 하위개념입니다.
상하관계를 구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만약 상하관계를 구분하지 않는다면 지문에서는 상하관계를 제시한 후 상위개념에 대해 서술하고, 문제에서는 그 상위개념에 포함된 하위개념에 대해 같은 서술을 하는 선지가 등장할 경우 그 선지가 맞는지 틀린지 잘 판단할 수 없을 겁니다. 상하관계를 머릿속으로 명확히 구분해 놓는다면 상위개념에 대한 서술이면 당연히 그 하위개념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 선지가 맞다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엔 반대로 지문에서 상하관계를 제시한 후 하위개념에 대해 서술을 하며 그 하위개념에만 그 서술이 적용된다고 표현하고 문제에서 상위개념이나 그 하위개념과 대등 관계에 있는 다른 하위개념에 대해 같은 서술을 하는 선지가 등장할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당연히 그 선지는 거짓이겠죠. 지문에서 상하관계를 제시하는 경우 이처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을 구분할 줄 아는지를 묻는 문제가 등장하곤 하니 상하관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기출에 등장했던 상하관계의 예시를 살펴봅시다.
1. 또한 대표 이사는 이사 중 한 명으로, 이사회에서 선출되는 기관이다. (2017학년도 9월 모평 발췌)
대표 이사 ⊂ 이사
2. 결합 패드에 있는 복합체는 금-나노 입자 또는 형광 비드 등의 표지 물질에 특정 물질이 붙어 이루어진다. (2019학년도 6월 모평 발췌)
금-나노 입자, 형광 비드 ⊂ 표지 물질
3. 계약도 하나의 약속이다. (2019학년도 수능 발췌)
계약 ⊂ 약속
4. 채권의 내용은 민법과 같은 실체법에서 규정하고 있고, 그것을 강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민사 소송법이나 민사 집행법 같은 절차법이 갖추어져 있다. (2019학년도 수능 발췌)
민법 ⊂ 실체법
민사 소송법, 민사 집행법 ⊂ 절차법
5. 세포는 사람과 같은 진핵생물의 진핵세포와, 박테리아나 고세균과 같은 원핵생물의 원핵세포로 구분된다. (2020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사람 ⊂ 진핵생물
박테리아, 고세균 ⊂ 원핵생물
진핵세포, 원핵세포 ⊂ 세포
6.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이 있다. (2021학년도 9월 모평 발췌)
세균, 진균, 바이러스 ⊂ 병원체
7. 법적으로 예약은 당사자들이 합의한 내용대로 권리가 발생하는 계약의 일종으로, 재화나 서비스 제공을 급부 내용으로 하는 다른 계약인 ‘본계약’을 성립시킬 수 있는 권리 발생을 목적으로 한다. (2021학년도 수능 발췌)
예약 ⊂ 계약
8. 유서는 모든 주제를 망라한 일반 유서와 특정 주제를 다룬 전문 유서로 나눌 수 있으며, 편찬 방식은 책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았다. (2023학년도 수능 발췌)
일반 유서, 전문 유서 ⊂ 유서
9. 하지만 의식의 하나인 ‘인지’ 즉 ‘무언가를 알게 됨’은 몸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과 맞물려 벌어진다. (2024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인지 ⊂ 의식
10. [A] 물건을 빌려 쓰거나 보관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여 물건을 물리적으로 지배하는 상태를 직접점유라고 한다. 이에 비해 어떤 물건을 빌려 쓰거나 보관하는 사람에게 그 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도 사실상의 지배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환청구권을 가진 상태를 간접점유라고 한다.
직접점유와 간접점유는 모두 점유에 해당한다.
- ‘직접점유’와 ‘간접점유’가 모두 ‘점유’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점유는 소유자를 공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공시란 물건에 대해 누가 어떤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려 주는 것이다. 물건 중에서 피아노, 금반지, 가방 등과 같은 대부분의 동산은 점유에 의해 소유권이 공시된다. (2020학년도 9월 모평 발췌)
28. [A]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물리적 지배를 해야 동산의 간접점유자가 될 수 있다.
해당 선지를 ‘물리적 지배를 하지 않으면 동산의 간접점유자가 될 수 없다’라고 바꾸어 읽을 수 있는데, 물리적 지배를 하지 않으면서 간접점유자가 될 수 있으므로 해당 선지는 거짓이다.
② 간접점유는 피아노 소유권에 대한 공시 방법이 아니다.
점유가 피아노 소유권에 대한 공시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간접점유도 피아노 소유권에 대한 공시 방법이 될 수 있다.
③ 하나의 동산에 직접점유자가 있으려면 간접점유자도 있어야 한다.
해당 선지를 ‘하나의 동산에 직접점유자가 있다면 간접점유자도 있다’라고 바꾸어 읽을 수 있는데, 한 사람이 직접점유자면서 소유자일 경우 간접점유자는 없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선지는 거짓이다.
④ 피아노의 직접점유자가 있으면 그 피아노의 간접점유자는 소유자가 아니다.
피아노의 직접점유자가 있으면 그 피아노의 간접점유자는 소유자이다.
⑤ 유효한 양도 계약으로 피아노의 소유자가 되려면 피아노에 대해 직접점유나 간접점유 중 하나를 갖춰야 한다.
답: ⑤
[부분관계]
색은 상위개념이고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은 색의 하위개념입니다. 다리는 상위개념이고 인천대교, 광안대교, 서해대교는 다리의 하위개념입니다. 그렇다면 자동차와 엔진의 관계는 상하관계일까요? 얼핏 생각하면 상하관계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이는 상하관계가 아닌 부분관계입니다. 부분관계란 말 그대로 개념적으로 포함하는 관계가 아닌, 하나가 다른 하나의 부분을 이루는 관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광안대교는 다리이다.’라고는 할 수 있지만 ‘엔진은 자동차이다.’라고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엔진과 자동차는 개념적으로 포함관계를 이루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지 엔진은 자동차의 부품 중 하나일 뿐이죠.
기출에 등장했던 부분관계의 예시를 살펴봅시다.
1. 퍼셉트론은 입력값들을 받아들이는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이 값을 처리하는 부분, 처리된 값을 내보내는 한 개의 출력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2017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입력 단자, 이 값을 처리하는 부분, 출력 단자와 퍼셉트론은 부분관계를 이룬다.
2.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섞어 물로 반죽한 혼합물이다. (2017학년도 9월 모평 발췌)
시멘트, 골재, 물과 콘크리트는 부분관계를 이룬다.
3. 사단의 구성원은 사원이라 한다. (2017학년도 9월 모평 발췌)
사원과 사단은 부분관계를 이룬다.
4. 생명체를 구성하는 단위는 세포이다. (2020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세포와 생명체는 부분관계를 이룬다.
5. 혼합 기체에서 특정 기체의 농도가 클수록 더 작은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2024학년도 9월 모평 발췌)
특정 기체와 혼합 기체는 부분관계를 이룬다.
/
오늘 칼럼은 여기까지입니다.
제가 다룰 칼럼들은 모두 『독해분석』에 있는 내용들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판매 페이지 혹은 온·오프라인 서점을 통해 『독해분석』을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종이책 판매 페이지:
pdf 판매 페이지:
https://docs.orbi.kr/docs/12914/
https://docs.orbi.kr/docs/12914/
https://docs.orbi.kr/docs/12914/
/
다음주 칼럼은 '정의'입니다.
오늘 칼럼이 도움 되셨거나 매주 월요일마다 칼럼 읽고 싶으신 분들은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책 내용 관련해서 질문 있으신 분들은 쪽지로 편하게 질문 주시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1,000)
-
1,000
-
됫다!!!!
-
ㅈㄱㄴ
-
올해버전 이투스 ㅇㅅㅎ쌤 개념서여ㅎㅎ 쪽지ㄱㄱ
-
레이븐 짝퉁들 보고 미사카 네트워크가 떠올라서 댓글에 남기려 했는데 베댓창이 다...
-
오늘도 어김없이 새르비 33
( ͡° ͜ʖ ͡ )-★
-
여성동지여러분 21
여자는 한 번 친구로 본 남자 절대 이성으로 안보나요? 좀 오랫동안 친구이긴...
-
많이 높은편인가요? 작년기준으로 정규반과 비교하면 어느정돈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
한양대 수강신청 3
언제부터에요? 제가 단톡초대가 안되가지고.. 단톡은 또 어떻게 가입되는건지..
-
경대문법은 0
나비효과로 커버 가능하나요?
-
저도 남자분들께 질문! 14
연애할 때, 결혼할 때 여자의 어떤 게 가장 플러스 되는 요인인가요?예를 들어...
-
내가좋아하는애는 날 어떻게 써줬을까 제일 성의있게 써준애는 누굴까 막 찾아보고,...
-
갈지 말지 고민중 입니다 ...
-
왜 전화한걸까요 21
짝녀가 뜬금없이 전화와서 받았는데 5초간뜸들이다 나:왜전화했어? 걔:그러게.....
-
(급) 노량진 학사/고시원/독서실/독재학원 구합니다 6
노량진 지역 학사/독서실/독재학원/고시원 아시는곳좀 다 알려주세요..가격과...
-
신입생이 받을수있는 조건과 국장을 간단히좀 설명해주실분 계신가요?
-
아오
-
남종 문과 준특반에서 재수한사람입니다. 오르비에서 남종에 대해 평가가 유독 박한게...
-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10분 20분 정도 쉴 때 오르비님들은 주로 무엇을 하시나요?...
-
굿밤~~~ 2
내일 시험보는데 에휴
-
올해 수능1교시 국어와 6교시 원서영역에서 미끄러져 다군 홍대 자전...
-
연대 고대 하위과 10
들어가기는 연대가 쉽나요 고대가 더쉽나요??
-
왜지 ㅋㅋㅋㅋ
-
대학가서 여초과에서는 14
남잔데요 남자수가 10명대인경우에 여자수가 30명이면 낯을가리는 성격이어도...
-
이번에는 이라는 생각보다 이번에도 라는 생각이 많이드네요 ㅋ 그냥 주위사람들은...
-
질문받아요 130
ㄱㄱ
-
ㅎ_ㅎ 설연휴는 이걸로...
-
물론 의대 서열 비교하는것이 합당한 일이 아닌것이란걸 알지만 세군데 합격했으면 어딜...
-
대체 인문학적 소양이라는 것이 뭘까요? 문학 사학 철학? 사람과 관련된 학문?...
-
이렇게말하는사람 간혹있는데 진짜 배때지에 칼꼽고싶네요.. 비루한 삼수생의 신세한탄
-
고민방 259
고민 다 들어드려요 :) 여기서 다 풀고 가세요!
-
문과 무시하는 기업들! 문과생은 어떻게 해야할까?
-
부산tg학원 이나 ln씨 학원 다녀보신분 질문좀 받아주세요 알바아님 4
올해 독학재수학원에서 재수를하기로 결심한 학생입니다 제가 부산쪽에 살아서 독재학원을...
-
인강사이트보면 다 자기들이 강의평가 1위던데 뭐 1년에 몇번씩 평가하는거에여?
-
http://blog.naver.com/mothert_book/220272317751...
-
이명학 선생이 가끔 해주는 '아는 형 이야기'가 생각남 아는 형이 고3때 자퇴하고...
-
작년에 수능을 안봤고 어차피 전과하는 바람에 유시험 쳐야되는데 지금 다니는 학원...
-
제가 현역때는 현강에서 창무쌤 문해전을 들었거든요 올해 재수때는그래서 종합반가면서...
-
강대에 비해 하이퍼 학원은 알려진 쌤이 별루 없더라고요. 하이퍼 학원의 샘들...
-
나는 기숙사 들가면 ㅃㅇ....
-
그건 그렇고 다들 머하시나요?^^ 진짜 많은 분들이 가고 오신 거 같아요 대충보니ㅠㅜ
-
반가워옄ㅋㅋ 여기 정말 오랜만에 와보는거 같아요.ㅡㅜ 6
(후딱 올리려했는데 엄청 늦게 올렸네여?;;ㅋ) 계시던 분들은 여전히 계시고 가실...
-
===============================================...
-
공부얼마나하시나요 하루!! 적어주십쇼!!♥
-
입시 커뮤니티에서 한의학 양의학 싸움을 왜하는지 모르겠네요... 사회에서 몇몇...
-
안녕하세요 고정재 선생님을 인강으로 들어볼라 하는데요 구문1 구문2 독해1 등등...
-
상담좀부탁드려요^ 29
제가 집안사정상 손 벌리지 않고 제 힘으로 수험생활에드는 비용을 벌어서 생활할...
-
문과고 제가 2013,2014년에 출판된 자이스토리 미적분과 통계기본을 가지고...
-
대성학원 ㄷㄴ 5
대성학원 반사꿔달라하면잘바뀌주나요?
-
디씨펌글이라 반말이해해주세요 제발 과한욕심내지말고 기본만해라 별 ㅈ같은 무늬...
이원준 강사님 제자인가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넵!![](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34.gif)
원칙적으로 상하 관계와 부분 관계를 구분해야 합니다. 부분 관계에서 속성은 상속되지 않습니다. 부분의 속성이 전체의 속성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구성의 오류입니다.(국어 서바에서 이거로 오류 낸 적이 있지요)이거 진짜 중요한 내용인데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이 놓치죠 ㅎㅎ
맞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책 구매해서 잘 보고 있습니다.
다만, 다음에는 빠른정답, 해설편 몇페이지에 해설이 있다고 표시해주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다음 개정 때는 꼭 반영하겠습니다!
순간 부부관계와 상하관계로 봤네요ㅋㅋ
저자님 쪽지 한 번만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원준t수업을 들었다는 전제에서 저자님의 책에서 원준쌤 수업내용 이외에 추가로 얻어갈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 있을지 여쭤보고싶습니다!
쪽지로 답변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