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l_guy [1329664]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2-02 15:18:33
조회수 300

꿀 팁 (영어 풀 때)

게시글 주소: https://susitest.orbi.kr/00071734006

A랑 B가 예를 들어 각가

부자 / 거지 라고 칩시다.


그러면 바로 대립 구도 생각나죠

(물론 공통점 다룰 수도 있지만)


그리고 A는 밥을 자주 먹는다고 지문에서 나옵니다


그럼 거기서 일반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건

(지문에 나와있지 않아도)


B는 밥을 자주 못 먹는다 (내지 밥을 절대 안 먹는다) 에요


걍 무조건 A랑 반대되는 특성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지문에서 안 나와도 암시되어 있다 생각하십쇼



왜냐?


애초에 대립구도 넣는 이유가 차이점 다루는 걸로 시작해서

도입부 구체화하려고 하는 거거든용


구체화 과정에서 나오는 대립 구도는

필자의 목적이나 글의 목적 자체를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읽을 때 좀 더 선명하게 받아들이고 싶으시면

위와 같이 읽어보세요


그냥 제가 많이 풀어보면서 느낀 겁니당


아닌 경우도 당연히 있겠죵

근데 걍 일반적으로 그런 거 같아용

0 XDK (+500)

  1.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