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거또 [613724]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5-02-04 18:02:57
조회수 1,201

[칼럼] 문학 Focus 1. 2011 월선헌십육경가 (할 수 있는 것만)

게시글 주소: https://susitest.orbi.kr/00071780317

(366.7K) [28]

2011 월선헌십육경가.pdf


제 고전시가 대비 자료에서 뽑아왔습니다....


앞부분의 설명은 나중에 한번 정리해서 올려볼게요


오늘은 이전에 논란이된 월선헌십육경가에 대한 해설을 가져와보았습니다. 그당시 논란이 있었고 지금도 확답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리가 시험장에서 이러한 지문을 마주하게 된다면 어찌해야할까요?


문제를 풀어보고


해설을 보며 흐름을 따라가 봅시다.






읽기 귀찮은 분들을 위한 선요약



1. 몽혼에 섯긔였다는 해석이 쉽지않았다.



2. 실전에서는 소거법으로 풀었어도 훌륭했다.



3. 시험장에서 '섯긔엿다'가 섞인건지 성긴건지 구별을 했을리도 없고 '성기다'가 무슨 뜻인지를 알았을리는 더더욱 없다.



4. 따라서 우리는 그 앞에서 '세상 공명계륵이나 다를소냐'에서 '계륵'에 집중해 화자의 내적 갈등을 캐치하고 화자의 상황이 (In 자연 → To 자연+속세) 이라는 것을 도식화해서 갔어야한다.



계륵 :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


(계륵도 몰랐다면요? 선지소거하시거나 뜻 찍어맞추거나 하셔야죠)



5. 화자가 자연에 대한 지향과 관직에 대한 미련이 남았음을 눈치챘다면 '‘강호’에서의 은거를 긍정하지만 정치 현실에 미련이 있음'은 적절한 선지가 된다. 따라서  '정치 현실의 번뇌를 해소하려는 자세'도 그어진다.



6. 섯긔엿다에 대한 해설은 아래 사진 참조




여기서 저 도식화 표현에 대한것을 다음 칼럼에서 다룰듯 합니다.


추천과 팔로우 해주시면 기부니가 더 좋아져서 빨리 올릴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